subtitle

" It could be "

2015. 2. 23.

[리뷰] 고프로 GoPro 3-Way 개봉기 / 리뷰



 오늘은 고프로의 마운트 중에서 가장 실용적인 GoPro 3-Way 마운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구매하기 전에 궁금했던 점과 구매 후에 느낀 점 위주로 써내려가겠습니다.





 고프로 3-Way Mount는 8만원 중반의 가격으로, 마운트 중에서도 비싼 편입니다. 하지만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하나로 3가지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3-Way의 가장 큰 장점입니다.



▶ Gopro 3-Way 패키지 모습


 3-Way의 패키지 모습입니다. 생각보다는 상당히 무게가 있는 느낌입니다.



▶ 3-Way로 구현할 수 있는 형태


 앞면에 3-Way로 만들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그림으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핸드그립부터 셀카봉, 삼각대까지 다양한 옵션을 통해 여러가지 구도를 구사할 수 있습니다. 개봉 후 구성품은 다음과 같이 간단합니다.



▶ 3-Way 구성품



 Grip/Arm/Tripod. 설명에 나온 구성품과 더불어 나비 나사가 하나 들어있습니다. Tripod, 미니 삼각대의 경우 손잡이 부분의 빈 공간에 들어가 있습니다.



▶ Tripod이 안쪽에 위치

 Tripod을 사용하기에 앞서 알아야할 점은 나사 머리가 뚜껑역할을 하며 마운트를 덮고 있다는 것입니다. 가장 난감했던 점은 빠질 것 같지만 좀처럼 빠지지가 않는 이 뚜껑이었습니다. 그냥 힘으로 잡아 빼자니 뭔가 부러질 것 같은 느낌이 들어 해외 개봉기를 보며 방법을 찾았습니다.



▶ 뚜껑을 고정하기 위한 홈이 보인다


 사진과 같이 홈이 앞, 뒤 양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뚜껑의 한 쪽을 꺾으며 홈에서 이탈시킨 후 빼시면 쉽게 탈거할 수 있습니다.




▶ 삼각대에 장착시킨 모습


 상당히 안정적인 자세입니다. 다만 걱정이 되는 부분은 밟히거나 무거운 물체에 깔려버릴 경우 구조상 다리가 쉽게 부러질 것 같습니다. 은색 핀이 있는 것을 보면 다리를 교체할 수 있을 듯한 구조입니다.



▶ 그립/암과 함께 장착시킨 모습


 관절을 이용하여 중심만 잘 잡으면 카메라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사진과 같이 최대로 높게 관절을 펼 경우 바람이 부는 야외에서는 다소 안정적이지 못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관절 분해 모습


 핸드그립과 암의 분해 모습입니다. 관절과 관절 사이는 나사를 이용하여 조이고 풀 수 있습니다.



▶ 버튼을 눌러줘야 접힌다


 관절을 접을 때 핸드그립의 파란색 버튼을 눌러 줘야 끝까지 접히는 구조입니다. 나사를 풀어놓은 상태도 관절 사이가 비교적 뻑뻑한 편인데 굳이 왜 이 버튼이 필요한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 핸드 그립과 암


  암의 경우 시중의 타 셀카봉 보다는 비교적 길이가 짧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히 최대한 먼 구도(혹은 자신이 아닌 피사체와 최대한 가까운 구도)를 잡기 원하시는 분에게는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됩니다. 하지만 두 개의 관절이 있기 때문에 다양한 구도나 높이에서 편리하게 촬영이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이 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고프로의 경우 광각렌즈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길이에 대한 부분은 크게 신경쓸 부분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최대로 늘린 모습


 제품의 길이에 대한 스펙이 나와 있지 않아 불편했는데, 최대로 늘렸을 때 핸드 그립을 제외한 관절 부분은 약 35cm, 핸드 그립은 약 15cm입니다.



▶ (좌) 암을 부착한 핸드그립 / (우) 암을 탈거한 핸드그립


 핸드그립의 경우 묵직한 무게의 손잡이가 있고 미끌어지지 않은 재질로 구성되어있어 그립감이 아주 좋습니다. 암을 부착한 상태에서도 너무 낮은 각이 아닌 이상 무난히 촬영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GoPro 악세서리 중 하나인 3-Way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

 제가 느낀점을 요약하면,

 다른 악세서리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부담스러운 가격이지만 여러가지 마운트의 기능을 하나로 할 수 있는 다재다능한 면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다만, 어쨌거나 '셀카봉의 목적으로는 짧다는 느낌을 떨칠 수가 없다'는 것과 손잡이에 스트랩 구멍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손목 스트랩을 구성품에 넣어 주지 않은 고프로사의 센스 부족은 이 제품의 아쉬운 부분입니다.





2015. 2. 17.

[정보] 구글 블로그스팟 카테고리 / 메뉴 만들기





 Blogger, 구글의 블로그스팟을 시작한지 3일이 되었습니다. 컴퓨터와 아이패드로 포스팅하며 느낀점은 블로그스팟은 정말 블로그 본연의 기능에 충실한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속세(?)를 벗어나 미니멀하고 심플한 디자인의 블로그를 꾸미고 싶어하던 저에게는 아주 잘 맞는 폼입니다.




 Blogger를 시작하며 가장 당황스러웠던 점은 카테고리에 대한 부분입니다.

▶ 아무리봐도 적응이 되지 않는다.

 제 블로그의 초기 매뉴 모습입니다. 블로그 개설 후 우리가 익숙한 메뉴처럼 보이는 것은 블로그 아카이브입니다. 포스팅한 글들이 연도와 월별로 아카이브에 차곡차곡 쌓이고 있습니다.

▶ 아카이브 구성 설정

 아카이브 설정에서 바꿀 수 있지 않을까 설정에 들어가보지만 딱히 바꿀 수 있는 설정은 보이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카테고리를 구성해야 할까요?


 정답은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 먼저 포스팅할 때 메뉴의 제목이 될 태그를 같이 달아줍니다.

    ▶ 글설정 메뉴의 태그
    블로그 '정보'라는 메뉴를 만들기 위해 태그에 '정보'를 입력합니다. 

  • 블로그 설정 > 레이아웃 > 가젯 추가 클릭 후 '태그 가젯'을 추가합니다.


    블로그 메뉴가 위치할 곳에 가젯을 추가시킵니다. 

  • 선택한 라벨만 표시하게 설정하고 메뉴 이름이 될 태그를 선택합니다.
▶ 라벨 가젯 구성
    목록형으로 포스트 숫자를 표시한 상태입니다. 제목에 들어갈 내용을 응용하여 제 블로그처럼 나름의 파티션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 목록화 된 모습!


 목록화는 시켰지만 아직까지는 뭔가 어색한 기분이 드는 것은 왜일까요ㅎㅎ.. 나중에는 좀 더 메뉴의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HTML 소스를 이용해서 트리형 메뉴를 만드는 것에 도전해봐야겠습니다.


2015. 2. 16.

마음을 다시 잡고



 하.. 취준생에게 5학년 방학은 괴롭기 짝이 없다.

 학기 중에는 이것저것 준비하며 바쁘게 살았는데 정작 방학이 되니 게임(검은사막)도 빠져보고 잠도 실컷 자고 야간 보딩도 하며 실컷 놀다가 문득 이렇게 쉬기만 하면 안되겠다는 생각이 든다.

 오늘부터는 마음을 다시 잡고 3월 8일까지 얼마 안남은 품질 경영 기사 공부에 푹 빠져보자ㅜㅜ


[리뷰] 샌디스크 Sandisk MicroSD Extreme 속도 비교



 안녕하세요. 지난 번 Sandisk사 MicroSD카드를 알아봤던 것에 이어 오늘은 SD카드의 속도를 측정해보겠습니다.

 속도를 측정하기 전 메모리의 분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얼마 전 아이폰6 메모리가 TLC냐 MLC냐 논란이 많았습니다. 이는 칩셋의 셀에 저장되는 메모리 비트수에 따른 분류로 SD카드 역시 SLC/MLC/TLC로 구분됩니다.


▶ 하드웨어 분류

 * SLC (Single Level Cell)
   : 하나의 소자에 1비트 할당, 속도는 50~100K, 수명(P/E)는 10만회(100K cycles/cell).

 * MLC (Multi Level Cell)
   : 하나의 소자에 2비트 할당, 속도는 5~10K, 수명(P/E)는 3천~1만회(3K~100K 
   cycles/cell).

 * TLC (Triple Level Cell)
   : 하나의 소자에 3비트 할당, 속도는 1~3K, 수명(P/E)는 1천회(1K cycles/cell).

 이렇다보니 당연히 안정성과 가격은 SLC>MLC>TLC 순서입니다. 현재 시장에 마이크로 SD카드는 대부분 MLC 혹은 TLC라고 합니다. MLC인지 TLC인지 알아보기 위해서 과거 ChipGenius라는 프로그램이 있었으나 이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DB보다 이후에 나온 제품들은 제조사에 직접 확인하는 수밖에 없다고 합니다. 
 (Sandisk Extreme의 경우 MLC 방식)

-----------------------------------------------------------------

 속도 비교를 위해서 저는 Atto disk benchmark를 사용하였습니다. 
(흔히 검색만 해도 쉽게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 Atto Disk Benchmark 실행 화면

 Drive에서 검사할 드라이브를 선택합니다. Transfer Size 메뉴에서는 속도를 체크할 범위를 설정합니다. 0.5KB 용량에서 설정한 용량까지 읽기/쓰기 속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Total Length에서는 최대 길이를 지정합니다.



 오늘 속도를 측정할 녀석들입니다. 샌디스크의 MicroSD카드에 대한 [정보]글에서 각각의 스펙에 대해 알아봤으니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습니다.




 Extreme 구매 당시 함께 온 어댑터를 사용했습니다. 측정에 앞서 알아두어야 할 중요한 점은 어댑터나 SD카드 리더, USB2.0/3.0(HDD/SSD도 영향이 있을 듯)에 따라 속도가 다르게 나온다는 것입니다. 처음 측정할 당시 허브 리더기를 통해 속도를 측정했는데 예상외로 속도가 스펙보다 너무나 낮게 측정되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SSD를 사용하는 노트북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으로 속도를 측정했습니다.


▶ MicroSDXC Extreme 64G의 측정값

 MicroSDXC의 경우 명시된 스펙(읽기60/쓰기40MB/s)보다는 모자란 수치지만 36/27MB/s의 속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 MicroSDHC 8G의 측정값

 MicroSDHC는 SDXC에 비해 읽기 속도뿐만 아니라 쓰기 속도가 상당히 낮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액션캠이나 블랙박스 등 영상 장비의 경우 영상을 기록하기 위해 쓰기 속도가 중요합니다. 때문에 이 MicroSD카드는 고화질의 영상을 찍을 경우, 고프로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 SD 2G의 측정값

 8년전 카메라를 살 때 끼워줬던 SD입니다. SD, SDHC, SDXC 각각 비교를 위해 한번 측정해봤습니다. 얼핏보면 그래프상 높아보이지만 읽기 속도가 9MB/s를 간신히 넘고 있습니다.


 측정을 하다보니 순수하게 SD카드가 장착된 장비와 SD카드 간의 속도 측정은 어떤 방식으로 할 수 있을까하는 의문이 생겼습니다. 고프로에 SD카드를 장착하고 외장메모리로 인식하게 하려 했으나 메모리가 아닌 기기로 인식되어 측정할 수 없었습니다. 명시된 스펙의 절반 정도밖에 성능을 확인할 수 없으니 답답할 뿐입니다ㅜㅜ..







[정보] 샌디스크 Sandisk MicroSD 제품 라인


 오늘은 Sandisk사의 Micro SD카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액션캠 고프로 구매와 함께 가장 먼저 구매해야될 물건이 결과물을 저장하기 위한 MicroSD카드입니다. 가장 먼저 고려해야할 점은 고화질의 동영상을 카드에 써야되기 때문에 SD카드의 읽기/쓰기 속도입니다.


▶ Sandisk의 MicroSD 제품 라인

 Sandisk사 MicroSD카드는 총 5가지 라인이 있습니다. 하나씩 살펴보도록 합시다.



 MicroSD의 하이엔드급인 Extreme PRO는 읽기/쓰기 속도가 자그만치 95MB/s나 됩니다. 현재 국내 출시 예정으로 해외 직구 가격으로 추론해볼 때 64G 기준 10만원대 초, 중반에 가격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두 번째 라인인 Extreme PLUS의 경우 최대 80/50MB/s의 읽기/쓰기 속도의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상품 가격 조사 결과 국내 물량이 별로 없어서 그런지 PRO보다 낮은 스펙에도 불구하고 10만원 초반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자세히 보시면 PRO와 UHS 등급이 다른데 여기서 UHS란 고성능 SD카드의 규격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SD 카드는 SD 협회가 정의한 SD 속도 계열 등급을 가지고 있다. SD 속도 계열 등급은 비어있는 SDHC 카드 기준으로 다음의 최소 쓰기 속도를 지정하고 있다.:
[하이스피드 모드 카드] 
  • 계열 2 (Class 2): 2 MB/초
  • 계열 4 (Class 4): 4 MB/초
  • 계열 6 (Class 6): 6 MB/초
  • 계열 10 (Class 10): 10MB/초
[울트라하이스피드 모드 카드]  (UHS)
  • 등급 0 (Grade 0): 10 MB/초 미만
  • 등급 1 (Grade 1): 10 MB/초
  • 등급 2 (Grade 2): 20 MB/초
  • 등급 3 (Grade 3): 30 MB/초


 네이버 용어 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세 번째 라인 Extreme의 경우 이름부터가 '액션 카메라용'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읽기/쓰기 속도는 최대 60/40MB/s로 64G의 경우 16, 32G와는 다르게 UHS속도가 3등급으로 4K 영상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가격은 6만원대. 벌크 가격의 경우 5만원 이하의 가격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Ultra의 경우 주로 스마트폰과 태블릿 이용자를 타겟으로 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읽기/쓰기 속도는 48MB/s의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격대는 3만원대 중반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스마트폰을 처음 샀을 때 끼워줬던 그녀석입니다. 공식 홈페이지에도 최대 속도 스펙은 표기되어있지 않습니다. 클래스 4 속도 성능 등급으로 Ultra와 비교했을 때 절반 정도의 성능을 가지고 있을 거라 예상됩니다. 32G기준 2만원대 중, 후반의 가격입니다.




 저처럼 액션캠을 위해 MicroSD카드를 구매하시는 경우 가격 대비 성능 면에서 Extreme 제품이 가장 좋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Sandisk의 MicroSDHC카드와 MicroSDXC Extreme의 읽기/쓰기 속도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Wikipedia, http://ko.wikipedia.org/wiki/SD_%EC%B9%B4%EB%93%9C, 

2015. 2. 15.

[리뷰] 고프로 히어로4 실버 GoPro Hero4 Silver






 요즘 레저 활동, 그 중 익스트림 스포츠가 인기를 얻으며 액션캠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그 중 소니HDR 시리즈와 고프로의 히어로 시리즈가 가장 대표적인 액션캠의 선두주자로 나서고 있습니다. 액션캠의 대명사가 되어버린 고프로 제품 중 히어로 4 실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Gopro Hero 4 Silver


 많은 분들이 저와 같이 실버와 블랙 사이에서 고민을 할텐데요, 저 역시 이 둘 사이에서 어떤 것을 사야할 지 고민을 했습니다. 입문용으로는 가성비가 좋은 실버가 가장 적당하다고 판단하여 히어로4 실버를 구매하였습니다.




▶ 히어로 4 블랙과 실버의 비디오 스펙 차이



히어로 4 실버는 현재 국내에서 정가 49.5만원, 블랙은 61만원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실버는 스펙상 대체적으로 블랙과 사진기능은 동일하고 비디오와 마이크 품질 성능 차이가 있습니다. 비디오 스펙을 살펴 보시면 실버가 블랙보다 초당 프레임 수가 다소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블랙의 경우 스튜디오 품질 내장 마이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 4000 X 3000, 12MP의 카메라 모드



▶ 터치 LCD가 있어 제어가 용이하다



 하지만 LCD 터치 모니터가 있다는 것이 제가 실버를 구매하게 된 가장 큰 이유입니다. 각종 옵션 제어와 모니터링, 리뷰를 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블랙의 경우 영상을 확인하려면 10만원 상당 LCD백팩을 따로 구매해야하는 부담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모니터링과 리모컨용으로 '리모뷰'라는 제품이 있는데 이 제품도 12만원 정도합니다.


▶ Gopro LCD 터치 백팩


 마이크의 품질의 경우는, 방수팩을 착용할 경우 그 차이가 크지 않다는 것이 저의 결론입니다.







 결론적으로 비전문가 유저의 입장에서 말씀드리면, 영상 품질 대비 '비용'을 생각해야만 하시는 분들은 실버가, 영상 품질이 중요하신 분들은 블랙으로 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고프로를 구매하고 느낀 점은 수익 모델이 애플사의 모델과 많이 닮았다는 것입니다. 제품을 사면 그 외 악세서리를 구매하느라 나가는 돈이 생각 외로 많아집니다ㅜㅜ..



 다음엔 Gopro Tripod와 고프로에 쓸만한 SD카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prologue


일기.

: 하루의 일, 생각에 대한 기록


일기는 항상 귀찮았었다.

어릴 적 긴 방학이 끝나갈 때 쯤에야 부랴부랴 생각나는대로,
혹은 상상의 나래를 펼치며 써나가는 것이 나에게는 일기였다.

하지만 20대가 얼마 남지 않은 지금.
귀중한 그 시간들이 빠르게 지나감을 느끼는 지금은 오히려 기록에 대한 미련이 남는다.

이것이 내가 블로그를 시작하는 가장 큰 이유이다.


하지만 이 블로그를 단순히 개인적인 용도인 '일기'로 쓰지는 않을 것이다.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 제공의 기능도 함께 할 수 있었으면 하는 것이 시작하는 지금의 바램이다.



2015.02.15

Blog 시작


시작
START